본문 바로가기

피트니스/운동

턱걸이 개수를 늘리는 가장 빠른 방법 : 미국 해병대 턱걸이 루틴

 

많은 사람들은 턱걸이를 잘하기 위해, 특히 턱걸이 횟수를 늘리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합니다.

 

턱걸이를 잘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턱걸이를 하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지도 알아봐야겠죠?

 

오늘은 그 방법인 “미국 해병대 턱걸이 루틴(Recon-ron Pull-up Program)”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해병대 턱걸이 루틴이란?

미국 해병대 턱걸이 루틴은 점진적인 횟수 증가를 통해 턱걸이 회수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기초 체력의 지표로 꼽히는 턱걸이의 횟수를 늘리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이기 때문이죠.

 

이 프로그램이 유명해진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바로 그 “효과”입니다. 웹사이트나 유튜브에 조금만 검색을 해보아도 다양한 성공 후기들을 접할 수 있는데, 이러한 후기들은 군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충분히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루틴 구성

이 루틴은 총 38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주차는 5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주차가 진행됨에 따라 세트별 횟수(reps)가 증가하게 됩니다.

 

1주차에는 총 23회의 턱걸이를 하게 되며, 매주 점진적으로 회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이론적으로 38주가 되면 총 98회의 턱걸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 루틴은 최소 6개의 이상의 턱걸이를 할 수 있는 분들에게 추천 드립니다.

 

프로그램 진행 방법

주 6일 운동

미국 해병대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매주 일요일만 휴식하고 매일 진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이는 각자의 생활 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일요일이 아닌 금요일을 휴식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세트 간 휴식 시간은 1분 내외

원칙은 1분의 휴식 시간 후, 바로 다음 세트에 들어갑니다. 주차가 지날 수록 운동 볼륨이 많아지기 때문에, 휴식 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1분 ~ 3분까지)

 

하지만, 불규칙적이고 너무 긴 휴식 시간은 프로그램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데드행(Dead Hang) 자세로 진행

데드행(Dead Hang) 자세는 숄더 패킹이 되지 않아 견갑골의 내려가 있는 상태로, 즉 이완 시 힘이 완전히 풀려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역시, 각자의 상황에 맞게 변형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데드행 자세가 원칙이지만, 군인이 아닌 우리에게는 우리에게 맞는 자세로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전투와 같은 실전에서 적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어깨 근육, 견갑골 등 사람 마다 구조와 상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횟수를 모두 채우지 못했다면?

해당 주차에서 횟수를 모두 채우지 못했다면, 다음 주차로 넘어가지 않고 해당 주차를 다시 반복합니다.

 

일반적으로 10주차를 넘어가는 시점부터 횟수를 모두 채우기가 어려워지는데요,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꾸준히 해당 주차를 반복하다 보면, 한계를 극복하면서 수행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꾸준함

이 루틴을 진행하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꾸준함” 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턱걸이를 잘하는 최고의 방법은 “턱걸이를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꾸준함”이 함께한다면 단시간 내에 비약적으로 퍼포먼스가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이 루틴은 턱걸이 횟수 등 퍼포먼스 향상이 주 목적이지만, 운동하는 습관을 형성하는데도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다들 미국 해병대 턱걸이 루틴으로 운동 습관도 형성하고, 턱걸이 퍼포먼스 향상으로 멋진 등근육도 가져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