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지표 알아보기 : GDP와 GNP란 무엇일까?

 

뉴스나 신문기사에서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혹은 GNP(Gross National Produce, 국민총생산)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GDP와 GNP는 국가의 경제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지표는 국가의 경제적 활동과 성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GDP와 GN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관련 신문기사에서 자주 보이는 GDP를 이해하면 경제 상황을 이해하기 쉽다.

 

 

 GDP(Gross Domestic Produce)

 

GDP는 국내총생산을 의미하며, 특정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총액을 나타냅니다.

대한민국의 GDP = 대한민국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 합계

 

GDP는 국내에서 발생된 소비자의 소비, 정부의 지출, 투자, 수출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포함하기 때문에,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이 생산한 부가가치와 최종 생산물도 포함하게 됩니다. 따라서, GDP의 상승은 그 나라의 성장을 의미하게 되며, 국가의 경제 활동과 생산 능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로 사용됩니다.

 

1. 명목 GDP

현재 시점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현재의 액면 가격으로 계산한 총액으로 인플레이션과 같은 가격 변동을 반영하며, 일반적으로 당해의 화폐 단위로 표시됩니다.

 

2. 실질 GDP

실질 GDP는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량만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가격 변동으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여 경제적인 성과를 측정합니다. 특정 기준 연도의 가격을 기준으로 모든 생산량을 기준 연도의 가격으로 변환하고, 이를 기준으로 총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실질 GDP는 가격 변동을 보정하여 시간에 따른 실제 경제 성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해줍니다.

 

 

 GNP(Gross National Produce)

 

GNP는 국민총소득을 의미하며, GDP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GDP는 자국 내 거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이 생산한 것을 포함한 반면, GNP는 국내와 국외에 거주하는 그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것을 포함하죠

대한민국의 GNP = 전 세계에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 합계

 

즉, “미국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는
대한민국의 GNP에는 포함되지만, 대한민국의 GDP에는 포함되지 않고, 미국의 GDP에 포함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