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나 신문 기사를 보다 보면 가처분 소득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소득의 한 종류인 것 같은데, 정확한 뜻을 몰라서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셨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오늘 가처분 소득에 대한 정확한 뜻과 계산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가처분 소득이란?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은 일정 기간 동안 개인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저축 또는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처분 가능 소득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다른 경제지표와 함께 여러가지 통계에 이용됩니다.
가처분소득은 다양한 경제 뉴스나 신문 기사에 자주 등장하기도 하는데, 후생 수준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처분 소득 계산 방법
가처분 소득을 쉽게 정의하자면, ‘세금을 제외한 나의 사적 수입에서 정부에서 제공한 복지 혜택을 더한 것’입니다.

■ 시장 소득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등 여러가지로 구성되지만, 쉽게 말하자면 정부의 도움 없이 사적 계약 관계를 통해 번 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공적 이전 소득
정부에서 대가 없이 제공하는 현금 등의 복지 혜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 의료비 지원, 양육수당 등이 있습니다.
■ 공적 비소비 지출
정부에서 대가 없이 가져가는 돈입니다. 대표적으로 소득세, 재산세,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이 있습니다.
가처분 소득의 중요성
소비는 경제 성장의 주요한 동력 중 하나로,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 개인과 가정의 소비가 활성화 되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가처분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여유를 갖게 되어 교육, 건강,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더 나은 선택과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처분 소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경제 상황을 알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제 용어를 알아두는 것이 좋은데요. 가처분 소득 이외에 다른 경제 용어까지 함께 공부하면서, 국내는 물론 세계의 경제 시황까지 확인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ve Index : 채권 시장의 변동성 지표를 알아보자 (3) | 2023.12.08 |
---|---|
인플레이션을 파악하는 지표: CPI와 PCE 이해하기 (1) | 2023.11.17 |
물가 상승의 이해 : 인플레이션(Inflation) (1) | 2023.11.17 |
장단기 금리 역전 후에는 경기 침체가 온다? :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3.11.16 |
경제지표 알아보기 : GDP와 GNP란 무엇일까? (1) | 202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