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Inflation)은 경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용어이면서, 우리 일상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데요.
오늘은 구매 가격 상승, 구매력 하락, 기준 금리의 변동 등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 수준의 지속적 상승”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 지수(CPI) 혹은 개인 소비 지출(PCE)에 의해 측정되며, 물가 상승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인플레이션을 파악하는 지표: CPI와 PCE 이해하기
요즘 경제 뉴스를 보면 다양한 경제 지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그 중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지표가 바로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 지수)와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개인 소비
onepath.tistory.com
인플레이션의 종류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은 수요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으로, 수요 증가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더 많은 소비를 원하고, 기업들은 생산을 늘리려고 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요 증가는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소비를 유도하는 긍정적인 루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비용 견인 인플레이션은 생산 비용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예를 들어, 재료 가격 상승, 노동 비용 상승,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 기업들은 제품 가격을 올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에게 부담이 되고, 구매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
■ 적절한 인플레이션은 건강한 경제를 의미합니다.
적정한 인플레이션은, 위 사진과 같이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선순환 구조를 형성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의 가치가 하락으로 부채(빚)를 감소시키는 간접 효과도 있습니다.
■ 부적절한 인플레이션은 기형적인 경제 구조를 만듭니다.
■ 인플레이션의 정도는 기준 금리 방향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중앙은행의 최우선 목표는 바로 물가 안정입니다.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이 지속되면, 중앙은행은 시중의 유동성을 거둬들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금리의 인상으로 이어져 가계 부채의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부채를 보다 빨리 상환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고, 시중의 유동성이 축소되면서 물가가 하락(안정)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높은 물가 상승은 기준 금리 방향성 설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와 미국 기준 금리의 추이를 보여줍니다.
두 개의 곡선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데, 비정상적인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기준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산 시장의 변동도 확인하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기준금리 인상은 자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위 그래프는 CPI(소비자 물가 지수, 파란색)와 미국 기준 금리, 나스닥 지수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나스닥 지수가 하락하고, 기준 금리가 인하되면 나스닥 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가 상승 압박은 기준 금리를 인상 시키고, 이로 인해서 나스닥 지수 등 자산 시장의 변동을 야기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인플레이션은 이중성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 모두 인플레이션을 이해하고,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서 개인과 경제의 안정을 지켜봅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ve Index : 채권 시장의 변동성 지표를 알아보자 (3) | 2023.12.08 |
---|---|
가처분 소득이란 무엇일까? (1) | 2023.11.18 |
인플레이션을 파악하는 지표: CPI와 PCE 이해하기 (1) | 2023.11.17 |
장단기 금리 역전 후에는 경기 침체가 온다? :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3.11.16 |
경제지표 알아보기 : GDP와 GNP란 무엇일까? (1) | 2023.11.15 |